진료과목외상클리닉골절
골절
뼈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
골절이란?
외부에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뼈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하며,
골절로 진단이 되는 경우 대부분 깁스를 통한 고정 치료가 필요하며
골절의 전위 여부와 모양, 위치 등을 종합 평가하여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할지 판단해야 합니다.
단순 골절이면서 벌어진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 깁스 고정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한 경우가 있으나
복합 골절, 많이 벌어진 골절, 관절면 골절, 관절 탈구와 동반된 골절의 경우는
정밀 검사까지 확인하여 수술 필요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골절의 경우에도 증상이 생각보다 심하지 않은 경우 골절 여부를 모르고 지나가 후유증이 남는 경우도 있어
외상이 있고 난 후 꼭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골절의 원인
교통사고나 추락 등 사고 규모에 따라 다발성 골절 등 광범위한 신체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교통사고·낙상 등
외부 충격
-
골다공증 등
신체 질환
-
노화로 인한
관절의 퇴행
-
무리한
스포츠활동
골절의 증상
- 발생 부위의 부정유합이 나타나는 경우
- 발생 부위에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
- 발생 부위에 감각 이상이 느껴지는 경우
- 발생 부위의 모양이 변하는 경우
- 발생 부위가 비정상적으로 흔들리는 경우
- 발생 부위의 움직임에 어려움이 느껴지는 경우